[이재윤 박사 2.] 깨달음경영학의 철학적 뿌리를 근대 한국의 사상가에서 찾다
- 사설/칼럼 / 열린의정뉴스 / 2020-04-02 15:17:50
![]() |
▲ 이재윤(李在潤) 경영학박사 중앙대학교 경영경제대학 명예교수 |
[열린의정뉴스 = 열린의정뉴스] (참나 실천포럼(참여나눔 실천기법으로 참된 나와 나의 지구공동체의 하나됨)참여자 한분 한분이 누구나 고생을 동반한, 치열한 구체적 현실에서 존재의 삶과 깨달음경영을 참여자 본인이 스스로 자기의 관점과 소망에 따라 이끌어 내도록 서로서로 기회를 만들어 주는 "참나 실천포럼" 즉 참여하고 나누고 실천하는 포럼을 운영하는 것입니다.
1) 참나 실천포럼의 운영방법
가. 제가 개발 정리한 학문 "깨달음 경영학 (지각경영학) 에서 개인과 개인이 속한 가정, 직장, 사회단체 등의 생생한 존재구조를 살피고 새로운 삶을 창조할 수 있는 일백(100)가지 분별력을 모델화 한 것을 간단하고 단순하게 설명 드립니다.
나. 참여하신 분들이 적게는 10명 많게는 150명 200명이라도 좋습니다. 많이 참여하실 수록 다수의 집합역동효과가 크기 때문에 좋습니다. 참여 하신 분들이 우선은 제가 설명 드린 분별력 모형과 간단한 답변을 적은 것을 가지고 서로서로 나눔의 시간을 갖습니다.
다. 이 같은 나눔의 과정에서 제가 우선 코치 ( Coaching )를 담당합니다. 그리고 소집단 코치 등을 통하여 참여자 한 분 한 분이 새로운 자신의 존재를 살펴보고 삶의 새로운 가능성의 영역을 창조하며 존재의 삶과 자아 및 가정과 소속 조직의 경영 지도력의 생활화로 체험하고 터득하게 됩니다.
라. 이 과정에서 참여자 한분 한분이 자기기만행위의 심층 분석과 부정적 신념체계 및 긍정적 신념체계와 인과관계 그리고 정신의식의 성장방향 및 수준, 열정 끈기 집중 등을 터득하게 됩니다.
마. 참여자 한분 한분이 아는 것(지식경영)이 아니라 앎(지각경영)을 체득하고 실천하는 것입니다.
이 같은 놀라운 성과는 누구든지 3 일 안에 일어나는 경험을 제가 많이 겪었습니다.
스스로 감동적인 성과를 체험한 참여자들은 바로 이 체험을 다른 사람들에게 나누지 않을 수 없게 되므로 자연히 존재의 삶과 자아 및 가정과 소속 조직의 경영지도력과 깨달음경영학 참나 실천포럼의 확산에 큰 성공을 거두고 확장하며 뜻을 함께하는 분들의 수가 빠르게 늘어날 뿐만 아니라 모든 분들이 깨달음경영학을 생활화 하고 본인 개인, 가정, 직장, 기업, 사회단체,국가, 지구촌을 위한 새로운 관계, 새로운 현실, 새로운 세상을 창조할 것입니다.
2) 참나 실천포럼(세미나)의 체험내용의 일부분 사례들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1) 존재의 삶과 높은 의식수준의 창조성
(2) 자신의 신념체계 찾기와 온전함, 듣기와 말하기
(3) 자신의 가정 및 직장의 행복한창조성과
(4) 자기자신과 자신이 속한 가정, 직장, 단체 등의 불편함, 부자유함, 의사소통의 어려움,외부와의 원활한 교류의 제약요인 등을 살펴보기
(5) 자기자신과 자신이 속한 가정, 직장, 사회단체 등의 자랑스런 강점의 고정관념 살펴보기
(6) 자기자신과 자신과 관계 있는 가정, 직장, 사회단체 및 관련 있는 사람들과 함께 새 사람으로 태어나고 미래의 새로운 가능성 생활창조와 온전한 대담한 실천승리
(7) 온전함, 돈에 대한 과거의 편견 살펴보기
(8) 돈의 함정으로부터 자유로움 창조
(9) 돈 과 관련된 삶이나 사업에 있어서 새로운 힘 능력 구조화 및 창조력 확장
(10) 새로운 인간관계를 위한 관점과 생각의 틀을 찾아보기
(11) 인간관계에 있어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제약과 영향을 살펴보기
(12) 어떠한 어려운 인간관계든지 공감언어로써 소통할 수 있는 지혜 보기
(13) 어느 누구와도 화합행동, 공동가치를 추구할 수 있는 마음의 넓은 자유공간 창조 14) 존재의 삶, 행복 삶, 나와 공동체 즉 나와 너와 우리와 저들과 그들이 모두 온전한 하나임을 체험 터득하고 사랑, 우정 , 용기, 헌신, 승리, 스스로 뛰어난 존재, 큰 존재, 위대함의 책임 만들기 등입니다.
3) 참나 실천포럼의 특징은;
(1).지식경영학과 지혜경영학을 넘어서 깨달음경영학을 통합하며 인간의 생동능력 전체를 100%로 볼 때 약 70%가 깨달음경영학 영역이고 인간의 내발능력과 외발 능력의 통합적 통찰력을 발휘토록 강의운영 합니다.
이 교육과정의 운영은 일방적 강의가 아니라 참나 실천 즉 참여 나눔 실천으로 참된 나를 찾고 실천하는 스스로 자기계발하는 교육과정 입니다.
(2). 수강참여자 각자가 자신의 관점과 스스로 목적하는 바에 따라서 새로운 존재로 거듭 태어납니다.
사람은 흔히 자기의 목적하는 바에 따라서 행위를 하는데 이때에 행위는 자신의 무의식 속에 내재된 익숙한 습관에 따라서 움직이는 것 입니다.
마치 기본 S/W(소프트웨어), 응용 S/W(소프트웨어)의 명령어에 따라서 움직이는 생물로봇과 같은 사람을 연상케 하는 것 입니다. 생물로봇의 자동반응 행위의 구조화된 틀에 갇혀있음을 깨닫고 나면 사람은 스스로 이렇게 구조화된 틀을 깨뜨리고 밖으로 나올 수가 있습니다.
그러면 비로서 사람은 스스로 자유로워지고, 생동감 있는 삶을 살게 되고, 남의 말을 경청하고, 자신의 말을 분명히 표현하고, 소통과 화합으로 공감언어, 화합행동, 고동가치 추구로써 원하는 것을 완성하고 창조하는 삶을 살면서 자아를 확장하고 또 기꺼이 내어 줌으로써 성공창조적 자아경영, 행복한 가족경영, 화합 속의 성공창조하며 신명 나는 직장을 만들고 더 나아가서 이웃 사회 국가 지구촌 인류 그리고 자연생태계와도 조화롭게 하며 온전한 공헌을 하면서 영향력 있고 힘찬 주변 세상을 만들 수 있도록 스스로 교육하는 것입니다.
(3). 이론, 체험탐구와 참여나눔실천(참나), 참된 나를찾는(참나), 강의방법으로 수강참여자 각자가 스스로 자기다운 자아를 단계적으로 창조해갑니다.
(4). 양자물리학의 발달로 인하여 양자 사회의 새로운 패라다임으로서 하나임(Oneness), Holon, Hollarky, 불확정성, 돌발성, 불연속 불확실성, 확률성, 비 이원성 즉 일원성등에 부응한 정신의식의 성장방향 및 수준을 수강참여자 각자가 용이하게 통찰하게 합니다.
(5). 우리나라 직업인들과 대학생들은 국내에서나 해외에서 외국의 직업인들 및 대학생들과 친밀히 교류 및 협업을 하므로 이미 글로벌 리더가 되어 있습니다. 현대의 리더는 리더(Leader)와 추종자(Follower)의 관계가 아니라 리더는 주위 사람들을 스스로 리더(Self Leader)가 되게 기회를 창조하는 사람인 것임을 체득 하도록 합니다.
(6). 무엇보다 중요한 특징은 위에 열거한 모든 것에 관하여 어려운 이론을 하는 것이 아니고, 단순하고 짜임새 있게 개발 정리한 단순한 분별기법 약 100개를 각자가 스스로 적용해 보도록 합니다. 따라서 남녀노소는 물론 교육 정도에 있어서도 초등학교도 안 다닌 사람부터 대학원 학위 가진 사람까지 누구나 쉽게 수강참여하고 실천할 수 있게 합니다.(다음호에 계속함)
▷이재윤(李在潤) 경영학박사 중앙대학교 경영경제대학 명예교수
[ⓒ 코리아 이슈저널.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