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의회하중환 의원, 화원 LH부지 개발 방안 마련 촉구
- 지방 · 의회 / 김태훈 기자 / 2025-10-27 11:35:07
30여년간 방치된 화원 LH부지, 신속한 용도변경 촉구
[코리아 이슈저널=김태훈 기자] 대구시의회 하중환 의원(달성군1)은 서면 시정질문을 통해 30여년간 방치된 화원 LH(한국토지주택공사) 부지의 신속한 용도변경과 개발 방안을 강력히 촉구했다.
하 의원은 “1975년 개장한 서부정류장은 대명동 도심화로 인해 1997년 화원읍 명곡택지 개발지구(화원읍 설화리 563번지)로 이전이 확정됐으나, 28년이 지난 지금까지 아무런 조치 없이 방치되고 있다”며, “그 결과 해당 부지(38,882.3㎡)는 당시 186억원에서 현재 400억원으로 지가가 급등했고, 매년 9억원의 금융비용이 발생하는 등 행정의 무책임이 시민 피해로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달성군은 부지개발과 관련한 민원에 지속적으로 시달리고 있으며, 공공기관 유치 등 대형 사업 추진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LH 또한 투자금 회수 지연으로 재정적 손실을 보고 있는 상황이다”며, “그럼에도 대구시는 달성군과 LH의 수차례 도시계획시설 폐지 및 용도변경 요청에 소극적인 태도로 일관해 왔다”고 비판했다.
그리고 “대구시는 서부정류장과 북부정류장을 통합하는 서대구역 복합환승센터를 내년 연말 착공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는 만큼, 대구시가 화원 LH부지를 더 이상 서부정류장 이전지로 묶어둘 이유가 없다”며, “신속히 용도변경을 단행해 달성군이 부지 개발 사업을 적극 추진할 수 있도록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답보 상태에 놓인 서대구역 복합환승센터 사업의 추진 상황과서부정류장 법인의 입장 △화원 LH부지의 도시계획시설 폐지 및 용도변경에 대한 대구시의 입장 등을 명확히 밝힐 것을 요구했다.
끝으로, 하중환 의원은 “대구시는 서대구역 복합환승센터 사업을 흔들림 없이 추진 하는 동시에, 30여년간 아무런 활용 없이 방치된 화원 LH부지를 용도변경 해 시민을 위한 발전의 길을 열어야 한다”며, “서대구역 복합환승센터 개발 추진을 명분 삼아 책임을 회피해 온 결과, 지역 발전이 지연되고 시민 피해가 발생해서는 안 된다”고 거듭 강조했다.
![]() |
| ▲ 대구시의회하중환 의원, |
[코리아 이슈저널=김태훈 기자] 대구시의회 하중환 의원(달성군1)은 서면 시정질문을 통해 30여년간 방치된 화원 LH(한국토지주택공사) 부지의 신속한 용도변경과 개발 방안을 강력히 촉구했다.
하 의원은 “1975년 개장한 서부정류장은 대명동 도심화로 인해 1997년 화원읍 명곡택지 개발지구(화원읍 설화리 563번지)로 이전이 확정됐으나, 28년이 지난 지금까지 아무런 조치 없이 방치되고 있다”며, “그 결과 해당 부지(38,882.3㎡)는 당시 186억원에서 현재 400억원으로 지가가 급등했고, 매년 9억원의 금융비용이 발생하는 등 행정의 무책임이 시민 피해로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달성군은 부지개발과 관련한 민원에 지속적으로 시달리고 있으며, 공공기관 유치 등 대형 사업 추진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LH 또한 투자금 회수 지연으로 재정적 손실을 보고 있는 상황이다”며, “그럼에도 대구시는 달성군과 LH의 수차례 도시계획시설 폐지 및 용도변경 요청에 소극적인 태도로 일관해 왔다”고 비판했다.
그리고 “대구시는 서부정류장과 북부정류장을 통합하는 서대구역 복합환승센터를 내년 연말 착공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는 만큼, 대구시가 화원 LH부지를 더 이상 서부정류장 이전지로 묶어둘 이유가 없다”며, “신속히 용도변경을 단행해 달성군이 부지 개발 사업을 적극 추진할 수 있도록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답보 상태에 놓인 서대구역 복합환승센터 사업의 추진 상황과서부정류장 법인의 입장 △화원 LH부지의 도시계획시설 폐지 및 용도변경에 대한 대구시의 입장 등을 명확히 밝힐 것을 요구했다.
끝으로, 하중환 의원은 “대구시는 서대구역 복합환승센터 사업을 흔들림 없이 추진 하는 동시에, 30여년간 아무런 활용 없이 방치된 화원 LH부지를 용도변경 해 시민을 위한 발전의 길을 열어야 한다”며, “서대구역 복합환승센터 개발 추진을 명분 삼아 책임을 회피해 온 결과, 지역 발전이 지연되고 시민 피해가 발생해서는 안 된다”고 거듭 강조했다.
[ⓒ 코리아 이슈저널.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