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국민이 체감하는 희망의 농촌 '농촌공간대전 2025' 수상작 공개

뉴스 / 최용달 기자 / 2025-09-08 12:20:44
수상작 126점, 대상(농림축산식품부 장관상)으로 '돌다무樂마을', '회진 LIVING NET' 및 '아침햇살 속 농촌의 숨결' 선정
▲ 2025년 제20회 한국농촌건축대전 수상작(농촌건축부문 대상 : 돌다무락마을)

[코리아 이슈저널=최용달 기자] 농림축산식품부는 ‘국민 모두에게 열린 살고, 일하고, 쉬는 새로운 농촌’을 주제로 진행된 '농촌공간대전 2025'의 수상작 선정 결과를 발표했다.

'농촌공간대전'은 농촌을 국민이 체감하는 희망의 공간이자 균형발전의 선도 거점으로 조성하기 위해 마련된 대회로, 한국농촌건축대전·한국농촌계획대전·농촌경관 사진·영상 공모전을 통합해 개최됐다. 올해로 3회째를 맞았다.

'농촌공간대전'은 농촌건축, 농촌계획, 농촌경관 사진·영상 세 부문으로 구성된다. 농촌건축 부문은 공간조성과 지역개발에 적용할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농촌계획 부문은 농촌의 정체성을 지키면서 새로운 공간 전략을 제시하며, 농촌경관 사진·영상 부문은 활기차고 매력적인 농촌의 모습을 담아 국민과 공유한다.

이번 대회에는 총 2,031건이 접수됐으며, 부문별 대상(농식품부 장관상) 3점을 포함해 126점이 수상작으로 선정됐다. 대상은 건축 부문 '돌다무樂마을', 계획 부문 '회진 LIVING NET', 농촌경관 사진·영상 부문 '아침햇살 속 농촌의 숨결'이 차지했다. 이 외에도 최우수상 9점, 우수상 14점, 입선 100점이 선정되어 농촌공간에 대한 참신한 아이디어와 다양한 참여 성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농촌건축 부문에서는 빈집재생 지원사업 대상지를 주거·워케이션 공간으로 전환하는 창의적 방안을 공모했다. 대상은 '돌다무樂마을'이 선정됐으며, 최우수상에는 '남해에 떨어진 : 작은 운석들', '경계없는 마루에, 모른 채 피는 꽃들', '병영상통 : 이어지는 시간, 살아나는 골목' 등 3점이 올랐다. 우수상은 '다로리 × MZ농부: 요리로 만드는 화마을' 등 4점, 입선은 30점이다.

농촌계획 부문에서는 농촌협약 사업지구를 대상으로 농촌경제 활성화와 전통적 가치 보존을 아우르는 새로운 공간 전략을 공모했다. 대상은 '회진 LIVING NET'이 차지했으며, 최우수상은 '겹의 농촌', '고경에서 움트다', '間: 단양을 채우다' 등 3점이 선정됐다. 우수상은 'DIY 단양', '옹아시스', '강산:애(愛)', '회진에 (읻)다' 등 4점, 입선은 30점이다.

농촌경관 사진·영상 부문은 ‘생생한 일상과 풍경’, ‘희망적인 농촌’, ‘취향의 농촌’을 주제로 다양한 작품을 공모했다. 대상은 '아침햇살 속 농촌의 숨결'이 차지했으며, 최우수상은 '산방산과 감자꽃', '풍요로운 땅', '농촌의 행복공식' 등 3점(사진 2점, 영상 1점)이 선정됐다. 우수상은 사진 5점과 영상 1점 등 6점, 입선은 사진 37점과 영상 3점 등 40점이다.

수상작은 9월 25일부터 28일까지 서울 aT센터에서 열리는 ‘2025 대한민국 농업박람회’ 특별전시회를 통해 일반에 공개된다. 아울러 국민 누구나 손쉽게 감상하고 농촌 홍보에 활용할 수 있도록 공모전 누리집에도 게재될 예정이다. 특히 농촌건축 및 계획 부문 우수작 16점은 작품에 담긴 농촌 발전 아이디어가 실제 지역 개발사업과 정책에 활용될 수 있도록 전시 이후 해당 지자체에 제공될 예정이다.

박성우 농촌정책국장은 “농촌공간대전 2025는 국민이 직접 참여해 농촌의 미래를 함께 고민하고 아이디어를 나누는 소통의 장이었다”며, “이번에 발굴된 다양한 성과가 농촌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고 앞으로 국민과 함께하는 정책과 공간 조성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 코리아 이슈저널.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