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참사 희생자 명단 최초 언론이 공개하면 안 된다!
- 사설/칼럼 / 열린의정뉴스 / 2022-11-21 14:37:45
![]() |
▲ (사)대한언론인연맹 총괄상임회장 열린의정뉴스 발행인 최계식 |
이태원 참사 희생자 명단 공개로 또 한번 세상이 시끄럽고 국민들은 어리둥절하다. 희생자 158명중 155명의 실명을 2022년 11월 14일 “시민언론 민들레”가 공개했다. 유족들의 허락을 받고 했는지 의문이고 20명 정도는 왜 공개에서 제외했는지 궁금증을 유발시키고 있다. 이태원 핼러윈은 놀다가 죽은 사람에 대한 추모라는 왜곡된 시각이 일부 있었고 과거와 달리 인터넷 공간에서 사자를 모독하고 특정 희생자를 비난하는 행위들이 일어나 유족이 고통 받고 있으며 특히 명단이 사고 발생 초기에 바로 공개되었다면 지금처럼 반대 의견이 지지를 받긴 어려웠을 것이다. 정부는 민심 악화를 고려하여 비공개를 고수하는 것인지도 의문점이다.
언론입장에서 보면 명단공개가 원칙이나 책임 있는 재난당국의 공식 발표의 진위나 정확성에 대해서 최대한 검증하고 취재를 철저히 하고서 보도해야 한다. 언론단체에서의 재난 보도 준칙을 이행해야 된다.
※ 재난 보도 준칙 ※
피해자 명단을 정부가 발표 안 하면 자체적으로 취재보도 하라.
제 11조 공적 정보의 취급) 피해규모나 피해자 명단 사고원인과 수사 상황등 중요한 정보에 관한 보도는 책임 있는 재난 관리 당국이나 관련기관의 공식발표의 권위와 정확성에 대해서도 최대한 검증해야 한다. 공식발표가 늦어지거나 발표 내용이 의심스러울 때는 자체적으로 취재하고 내용을 보도하되 정확성과 객관성을 최대한 검증하고 자체 취재임을 밝혀야 한다.
제 9조 신상공개주의) 피해자와 그 가족 주변 사람들의 상세한 신상공개는 인격권이나 초상권, 사생활 침해등의 우려가 있으므로 최대한 신중해야 한다.
2014년 9월 16일
한국신문협회, 한국방송협회,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한국기자협회, 한국신문윤리위원회
시민언론 민들레의 명단 공개 후 밝힌 내용을 일부는 이렇다. 희생자 명단 공개 이후 공개에 대한 논란이 생기고 있다. 그래서 그런지 이태원 참사 희생자 명단 공개에 대해 거듭 밝힌다고 기사 내용에서는 죽음의 성격 때문에 명단공개를 결정했다고 한다. 사회적 죽음이었음에도 정부의 부재 참사 원인에 대한 무책임한 호도에 의해 두 번 죽인다고 판단했기에 명단공개를 통해 언론의 의무이며 시민이 당한 재난에 대해 연대하려는 시민으로서 책무를 스스로 느끼기에 보도했다 라고 밝혔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명단과 영정 공개를 주장해왔고 민주연구원 부원장의 메시지를 모든 수단방법을 동원해서라도 전체 명단, 사진, 프로필을 확보해야 한다고 했다. 또한 국정조사를 실시하자고 국민의힘에게 국정조사 위원 명단을 제출하라고 요구하고 있으나 반대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이번 참사를 전략적으로 활용하려는 정치권의 움직임에 편중한 폭력행위라고 국민의힘은 말하고 있다.
외교부에 따르면 외국인 26명중 1명을 제외한 거의 모든 유족이 이 명단공개를 원치 않았고 일부 주한대사관은 항의의 뜻을 전했다고 한다.
대한민국은 5차산업이니 스마트 도시건설이니 최첨단시스템의 시대를 표방하고 있지만 국민들은 안전 불감증에 대해서는 정부를 신뢰하지 않고 있다. 국민의 기본 안전과 생명을 지켜주는 것이 정부가 할 일이다. 국민의 생명을 위해 행안부, 구청, 경찰, 소방당국등이 솔선수범하고 예방에 앞장섰으면 이런 비극적인 참사는 없었을 것이다.
이 명단을 갖고 있는 행안부, 서울시, 보건복지부, 경찰은 명단 유출에 대한 윤리적 법적 책임을 져야 한다. 정부는 예방대책 소홀과 보고체계 엉망에 대한 책임과 직무유기에 한 처벌을 철저히 가려내서 다시는 이런 비극이 없도록 반성하고 책임규명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20221121
최계식
[ⓒ 코리아 이슈저널.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