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 vs 용산' 尹, 국정조정 첫 시험대…일각서 속도조절론도

중앙정부 · 국회 / 최준석 기자 / 2022-03-18 15:16:39
비서실·인수위 '공약 이행' 차원 강조…용산 유력설·불가론 충돌

김종인 "코로나 민생 회복이 첫 과제…왜 정력 낭비하나"

TF는 '신속한 매듭'에 무게…"靑 한번 들어가면 못 나와"

▲ 18일 서울 종로구 통의동 인수위 건물 입구에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등 참석자들이 현판식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준석 당대표, 윤 당선인, 안철수 인수위원장, 권영세 부위원장. 2022.3.18 [국회사진기자단]

[열린의정뉴스 = 최준석 기자]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공약 사항인 새 집무실 마련을 놓고 국정 조정 역량을 입증할 첫 시험대에 오른 모양새다.

 

기존 청와대를 비울 것인지, 그렇다면 어디로 갈 것인지를 놓고 의견이 분분한 가운데 국민과의 약속을 지키면서도 일부 반대 여론을 잠재울 '묘수'를 고심하는 분위기다.

 

윤 당선인 측은 일단 공약 이행에 방점을 찍었다.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18일 브리핑에서 집무실 이전 취지에 대해 "한국 역사에서 절대권력의 상징이었던 청와대에서 나오겠다는 것"이라며 "그 권력을 국민께 돌려드리겠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원일희 인수위 수석부대변인은 통화에서 "당선인이 청와대로 상징되는 절대권력을 분산하겠다는, 확고한 의지를 보이려는 것"이라고 했다.

 

국민의힘 내부에서도 청와대 이전 자체에는 큰 이견이 없어 보인다.

 

김기현 원내대표는 이날 라디오에서 "문재인 대통령도 청와대를 옮기려다 여러 애로 사항이 있어서 중단했다"며 "이번에는 그런 애로 사항을 극복하고 약속을 지키기 위한 노력을 하는 것"이라고 거들었다.

 

집무실 이전 후보지가 광화문 정부서울청사 별관과 용산 국방부 청사로 압축된 가운데 인수위 안팎에서는 용산이 더 유력하다는 얘기가 흘러나온다.

 

전날 윤 당선인과 오찬을 함께 한 박주선 전 의원은 이날 라디오에서 "전문가들이 용산이 더 바람직하다고 의견을 제시하는 것 같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당선인께서 용산 쪽으로 청와대를 이전하게 된다면, 여러 문제점을 사전에 면밀히 검토해 국민이 걱정하지 않도록 하겠다는 취지로 말씀하는 걸 들었다"고 전했다.

 

반면 '용산 불가론'도 만만치 않다.

 

윤 당선인이 대선 후보 시절 광화문 집무실을 공약한 만큼 경호·보안 문제가 있더라도 약속을 액면 그대로 지켜 문재인 정부와 차별화해야 한다는 요구다.

 

애초 북악산 기슭의 청와대에서 나오겠다는 취지가 '구중궁궐'을 벗어나 국민 속으로 들어가겠다는 것인데, 일반 국민이 접근하기 어려운 국방부 청사 역시 기존 청와대와 같은 단점이 있다는 비판론이 깔렸다.

 

청와대 이전이 시급한 민생 문제가 아니라는 지적도 나온다.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은 통화에서 "청와대를 옮기겠다는 명분 자체가 분명치 않고 설득력도 별로 없다"며 "왜 그런 데다 정력을 낭비하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김 전 위원장은 "집 옮기는 문제보다 코로나19 사태로 황폐해진 소상공인 자영업자의 삶을 어떻게 회복시킬 것인가가 첫 번째 과제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그 연장선에서 '속도조절론'도 터져 나왔다.

 

국회 국방위원장을 지낸 김영우 전 의원은 이날 라디오에서 "제가 보더라도 시간을 조금 두고 아주 치밀하고 정교하게 준비하는 것이 옳다"고 말했다.

 

박주선 전 의원은 라디오에서 사회자가 '청와대로 단 하루도 못 들어간다는 건 아니죠'라고 묻자 "그것은 아니라고 본다"라고도 했다.

 

김 대변인이 이날 브리핑에서 '컨센서스'를 유독 강조한 것은 속도감 있는 의사결정도 좋지만, 두루 의견을 수렴하는 절차가 수반돼야 한다는 지적을 고려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윤 당선인으로서는 인수위 출범을 전후해 최대 이슈로 떠오른 청와대 이전 문제를 큰 논란 없이 연착륙시켜야 하는 어려운 과제를 안게 된 셈이다.

 

윤 당선인은 새 집무실 마련이 민생과 동떨어진 문제 아니냐는 일각의 시선을 의식한 듯 이날 인수위 현판식 직후 전체 회의에서 "영세 자영업자·소상공인에 대한 신속한 손실 보상과 방역·의료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뤄달라"고 당부했다.

 

다만 윤 당선인 측은 여전히 청와대 이전 문제를 신속하게 매듭지으려는 생각이 확고해 보인다. 이 때문에 늦어도 다음 주 초까지는 결론을 내지 않겠냐는 관측이 나온다.

 

청와대 이전 태스크포스(TF) 관계자는 이날 통화에서 "청와대 이전은 속도 조절하면 못하는 사업"이라며 "당선인이 청와대에 들어가 버리면 다시 나오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 코리아 이슈저널.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