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의회 김재웅 도의원, “하천 생태 보전 위해 납탄 전면 금지·비살상 관리체계 도입해야”
- 지방 · 의회 / 김태훈 기자 / 2025-11-19 15:50:28
납탄 사용 금지와 비독성 탄환 도입 시급
[코리아 이슈저널=김태훈 기자] 경상남도의회 농해양수산위원회 김재웅 의원(국민의힘, 함양)은 19일 열린 제428회 정례회 제2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하천 생태계 보전 대책을 촉구했다.
김 의원은 “하천은 우리 삶의 근원이자 미래 세대에게 물려줘야 할 가장 소중한 자산”이라며, “도내 하천이 납탄 오염, 무분별한 포획, 치어 남획으로 심각한 위기에 직면해 있다”고 지적하며, 특히 야생 조류 포획 과정에서 사용되는 납(Pb) 탄환의 심각성을 집중적으로 언급했다. 환경부에 따르면 납은 생물체 내에서 최대 730만 배까지 농축되는 고독성 물질로, 김 의원은 “물에서 검출되지 않더라도 생물 내부에 축적돼 결국 우리 식수와 건강까지 위협하게 된다”고 경고했다.
이어 “하천 및 습지 인접 지역에서의 납탄 사용을 전면 금지하고, 비독성 탄환을 의무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한, 최근 급증하고 있는 민물가마우지 개체수와 어업 피해 문제도 도정이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꼽았다. 김 의원은 “단순한 포획 중심 대응은 이미 한계에 도달했다”며, “환경부가 제시한 둥지 제거, 공포탄 소음 유발, 가지치기 등 생태친화적 관리 지침을 예산과 연계해 실효성 있게 시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철새 도래 시기에 가마우지 포획을 시도할 경우 “외형이 비슷한 철새들이 함께 잡히는 오포획 위험이 높아 생태계 전체에 큰 피해를 줄 수 있다”며 계절별 포획 자제와 정교한 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 의원은 무분별한 어획 관행 개선도 시급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치어 남획을 포함한 무분별한 어획 관행을 하천 생태계 악화의 또 다른 주요 원인으로 지목했다.
그는 “어종이나 크기를 가리지 않는 남획이 반복되면서 어린 물고기들이 자라기도 전에 사라지고 있다”며, “경남도가 잉어·붕어·메기·은어·미꾸리 등 약 5,100만 마리를 방류해도, 현장에서의 무절제한 포획이 계속된다면 생태계 회복은 요원하다”고 우려를 표했다.
김 의원은 “납탄 오염을 막고, 생태친화적 관리로 가마우지를 조절하고, 교육을 통해 치어를 보호하는 것이야말로 다음 세
![]() |
| ▲ 경상남도의회 김재웅 도의원 |
[코리아 이슈저널=김태훈 기자] 경상남도의회 농해양수산위원회 김재웅 의원(국민의힘, 함양)은 19일 열린 제428회 정례회 제2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하천 생태계 보전 대책을 촉구했다.
김 의원은 “하천은 우리 삶의 근원이자 미래 세대에게 물려줘야 할 가장 소중한 자산”이라며, “도내 하천이 납탄 오염, 무분별한 포획, 치어 남획으로 심각한 위기에 직면해 있다”고 지적하며, 특히 야생 조류 포획 과정에서 사용되는 납(Pb) 탄환의 심각성을 집중적으로 언급했다. 환경부에 따르면 납은 생물체 내에서 최대 730만 배까지 농축되는 고독성 물질로, 김 의원은 “물에서 검출되지 않더라도 생물 내부에 축적돼 결국 우리 식수와 건강까지 위협하게 된다”고 경고했다.
이어 “하천 및 습지 인접 지역에서의 납탄 사용을 전면 금지하고, 비독성 탄환을 의무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한, 최근 급증하고 있는 민물가마우지 개체수와 어업 피해 문제도 도정이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꼽았다. 김 의원은 “단순한 포획 중심 대응은 이미 한계에 도달했다”며, “환경부가 제시한 둥지 제거, 공포탄 소음 유발, 가지치기 등 생태친화적 관리 지침을 예산과 연계해 실효성 있게 시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철새 도래 시기에 가마우지 포획을 시도할 경우 “외형이 비슷한 철새들이 함께 잡히는 오포획 위험이 높아 생태계 전체에 큰 피해를 줄 수 있다”며 계절별 포획 자제와 정교한 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 의원은 무분별한 어획 관행 개선도 시급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치어 남획을 포함한 무분별한 어획 관행을 하천 생태계 악화의 또 다른 주요 원인으로 지목했다.
그는 “어종이나 크기를 가리지 않는 남획이 반복되면서 어린 물고기들이 자라기도 전에 사라지고 있다”며, “경남도가 잉어·붕어·메기·은어·미꾸리 등 약 5,100만 마리를 방류해도, 현장에서의 무절제한 포획이 계속된다면 생태계 회복은 요원하다”고 우려를 표했다.
김 의원은 “납탄 오염을 막고, 생태친화적 관리로 가마우지를 조절하고, 교육을 통해 치어를 보호하는 것이야말로 다음 세
[ⓒ 코리아 이슈저널.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