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총리, '文정부 태양광 위법지원'에 "조사 목적은 제도개선"
- 중앙정부 · 국회 / 최성일 기자 / 2022-09-13 16:03:57
![]() |
| ▲ 한덕수 국무총리가 13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서울청사와 영상으로 연결해 열린 국무회의에 입장하고 있다. 2022.9.13 |
[열린의정뉴스 = 최성일 기자] 한덕수 국무총리는 13일 국무조정실이 발표한 전력산업기반기금사업 운영실태 점검 결과와 관련 "특정한 정부가 바뀌었으니까 (조사)한 것과 관련이 없다"고 밝혔다.
한 총리는 이날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출입기자단과 만나 '조사 내용이 전 정권 에너지정책을 압박한다는 인식이 있다'는 지적에 이같이 답했다.
한 총리는 "조사에 따라서 제도도 좀 바꾸고, 누구를 처벌하는 게 중요한 게 아니라 제도 같은 것을 잘 바꿔도 되겠다 하는 차원에서 시작하는 것"이라며 "조사 시작은 이미 작년인가부터 했다"고 설명했다.
한 총리는 "하나의 사건이 안타깝거나 유감스러운 게 분명한데 그 사건을 위해서 제도를 고친 것이 더 많은 비용을 국가나 사회나 경제에 강요하는 그런 식의 개선은 제도개선이 아닐 경우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조사 등을 통해) 잘 좀 따져서 잘못된 것을 고치고 재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 총리는 미국 정부가 바이오 의약품 등 생명공학 분야에서도 미국 내 연구와 제조를 공식화하고 나선 것과 관련해서는 "철학이 같은 나라들을 중심으로 공급망을 재편성해야 한다는 현상이 강해지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 총리는 "어느 나라나 자국의 정치는 있다. 어디서 공짜 돈 갖고 하는 게 아니라 세금 더 걷어서 본인들의 일종의 산업 정책을 하는 것"이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가지 세계적인 룰을 지켜달라든지, 우리의 사정을 배려해 달라든지 하는 얘기는 충분히 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안덕근 통상교섭본부장이 한국산 전기차 차별 문제를 미국 측과 논의하기 위해 워싱턴DC를 방문한 것을 두고는 "필요한 사람은 다 만나서 협의를 했고, 통상교섭본부장 본인이 출장 간 것에 대한 적절한 얘기를 할 수 있는 기회가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통상교섭본부장이 가서 협상한 것을 긍정적으로 본다는 것인가'라는 질문에는 "협상이라기 보다는 상당히 문제라는 인식은 미국이 우리 언론들을 보고 상당히 잘 이해하고 있는 것 같다. 우리 언론에서 쓰는 것은 (주한)미국대사관이 단 하나도 놓치지 않는다"고 밝혔다.
[ⓒ 코리아 이슈저널.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